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8

재설환경에서 콘크리트 내구성 강화 방안 1. 재설환경이 콘크리트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재설환경, 즉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반복적으로 동결과 해빙을 겪기 때문에 내구성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동결-해빙 현상은 물이 얼고 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낮은 온도에서 얼면서 팽창하여 미세한 균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미세 균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커지며, 콘크리트의 구조적 강도를 약화시키고, 반복되는 동결과 해빙 과정에서 더 많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고, 콘크리트의 장기적인 안정성도 위협받게 됩니다. 또한, 재설환경에서는 염화물의 사용이 콘크리트 내구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도로나 교량 등의 표면에 제설을 위해 염화칼슘(CaCl₂.. 2024. 10. 22.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 원인, 영향 요인, 그리고 정량화 방 1. 측압의 정의와 타설 중 발생 원인측압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벽면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압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자중과 유동성으로 인해 거푸집에 가해지는 힘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그 특성상 수직으로 쌓이는 중량 외에도 거푸집의 측면에 힘을 가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압력이 바로 측압입니다. 측압은 콘크리트의 유동성, 경화 시간, 배합 비율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거푸집이 변형되거나 붕괴될 위험이 있습니다. 측압은 콘크리트가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면서 물과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납니다. 콘크리트는 경화되기 전까지 유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설된 후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향하는 하중뿐만 아니라 옆으로 확장하려는 성질도 가집.. 2024. 10. 22.
콘크리트 배합과 슬럼프, 배합비와 유동성의 관계 1. 콘크리트 배합의 기본 원칙콘크리트 배합은 설계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배합은 주로 시멘트, 물, 골재(잔골재와 굵은 골재), 그리고 혼화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비율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이 달라집니다. 배합의 기본 원칙은 콘크리트가 요구하는 강도, 작업성, 내구성을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배합 설계는 콘크리트가 최종적으로 지닌 성능을 예측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과정입니다. 먼저,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중요합니다. 이 비율을 물-시멘트 비율이라고 하는데, 물이 많으면 유동성이 높아지지만 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물이 적으면 강도는 올라가지만 작업성은 떨어집니다. 물-시멘트 비율을 적절히 조정해 콘크리트의 최종 강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 비율이 .. 2024. 10. 22.
투수 콘크리트의 원리, 특징, 추천 용도 1. 투수 콘크리트의 원리투수 콘크리트는 물이 자유롭게 지면으로 흘러가도록 설계된 특별한 유형의 콘크리트입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와 달리, 투수 콘크리트는 미세한 입자를 거의 또는 전혀 포함하지 않아 콘크리트 내에 공극을 형성합니다. 이 공극 네트워크는 물이 콘크리트 구조를 통과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지하로 침투하게 합니다. 즉, 빗물이나 다른 수분이 표면에서 고이지 않고,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 재충전과 물 관리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투수 콘크리트는 강우 시 발생하는 빗물의 유출을 줄이고, 도로나 주차장과 같은 인공 표면에서 물이 고이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투수 콘크리트의 핵심은 미세한 입자를 생략함으로써 큰 입자 사이에 공극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공극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2024. 10. 22.